로고

GIST, 최첨단 연구장비 ‘초저온 투과전자현미경(300kV Cryo-EM)’ 도입

-300kV(킬로볼트) Cryo-EM, 국내 10번째로 GIST 중앙기기연구소(GAIA)에 설치… 단백질·바이러스·세포 등 생체 분자의 
 차원 구조를 원자 수준에서 규명할 수 있어
-김태영 GAIA 소장, “Cryo-EM 장비를 활용한 단백질 복합체와 바이러스 구조 분석은 생명과학, 의학, 신약 개발 등 의생명 
 과학 분야 기술 혁신의 새로운 토대 될 것”

조재완 기자yakpum@yakpum.co.kr | 기사입력 2025/01/08 [10:21]

GIST, 최첨단 연구장비 ‘초저온 투과전자현미경(300kV Cryo-EM)’ 도입

-300kV(킬로볼트) Cryo-EM, 국내 10번째로 GIST 중앙기기연구소(GAIA)에 설치… 단백질·바이러스·세포 등 생체 분자의 
 차원 구조를 원자 수준에서 규명할 수 있어
-김태영 GAIA 소장, “Cryo-EM 장비를 활용한 단백질 복합체와 바이러스 구조 분석은 생명과학, 의학, 신약 개발 등 의생명 
 과학 분야 기술 혁신의 새로운 토대 될 것”

조재완 기자 | 입력 : 2025/01/08 [10:21]
본문이미지

▲300kV+Cryo-EM+도입+기념식+단체사진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17() 중앙기기연구소(GAIA)에서 최첨단

300kV(킬로볼트) 고분해능 초저온 투과전자현미경(300kV Cryo-EM) 도입 기념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임기철 총장을 비롯해 김상돈 교학부총장, 정성호 연구부총장, 정용화 대외부총장과 김태영 GAIA 소장, 이재영 연구처장, 이현주 학술정보처장 등이 참석했다.

 

초저온 투과전자현미경(Cryo-EM)’은 단백질, 바이러스, 세포 등 생체 분자를 극저온(-196) 상태로 급속 냉각시켜 생리학적 상태 그대로 관찰하는 기술이다. 생체 분자의 3차원 구조를 원자 수준에서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으며, 생명과학, 의학, 신약 개발 등 의생명과학 분야의 혁신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영국 의학연구위원회(MRC)의 리처드 헨더슨(Richard Henderson) 교수 등은 Cryo-EM 기술 개발의 공로를 인정받아 2017년에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바 있다. GIST국내에서 10번째로 이 최첨단 장비를 도입하였다.

 

 

본문이미지

▲ 중앙기기연구소(GAIA)에 국내 10번째로 설치된 최첨단 300kV(킬로볼트) 고분해능 초저온 투과전자현미경(300kV Cryo-EM)    

 

기념식에서 김태영 소장은 Cryo-EM을 포함해 지난해 새로 도입된 환경주사현미경(E-SEM), 엑스선 광전자분광기(XPS), 200kV-투과전자현미경(200kV-TEM), 오비트랩 질량분석기(Orbitrap MS) 등 최신 장비들을 소개하며 연구소의 역량을 강조했다.

 

김 소장은 “Cryo-EM생명과학, 의학, 신약 개발뿐 아니라 나노소재와 고분자 구조 분석 등 다양한 첨단 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GIST와 호남권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또한, 첨단 공동 활용 연구 장비의 안정적인 구축과 체계적인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앞으로도 최고 수준의 연구 지원을 이어갈 것을 약속했다.

 

GAIA2019년 첨단 연구장비 구축 및 대학 내 주요 연구장비의 중앙화를 위해 GIST 중앙연구기기센터로 문을 연 이후, 새로운 첨단 기기 분석법 및 연구 장비 개발과 같은 첨단 연구 인프라를 강화하며 세계적인 기기 분석 연구를 수행하고자 202311월 연구소로 격상됐다.

 

GAIA의 모든 장비는 공동 활용 서비스를 제공하며, 연구장비통합관리시스템(gaia.gist.ac.kr)을 통해 실시간 예약 및 분석 결과 확인 등 모든 이용 절차를 온라인으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연구소는 또한 연구장비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교육과 세미나 등을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2월에는 전남대, 조선대, 한국에너지공과대, 목포대, 순천대 등 광주·전남 지역 20개 대학과 GIST가 공동 활용 서비스 연구 장비의 공동 활용 협력 증대를 위한 협약을 체결하여 지역 연구 협력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 협약에는 연구 장비 정보 현행화 및 목록 공유, 시험 분석료 30% 할인 등이 포함되어 있다

 

  • 도배방지 이미지

޿½
광고
광고
광고
광고
޿½
광고